달리 (DALL-E) vs 미드저니 (Midjourney) AI 공통점 및 차이점

이미지
달리 (DALL-E)는 사실적이고 명확한 이미지가 필요할 때 등 주로 상업적 또는 개인적으로 이미지를 사용하고자 할 때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 생성 AI 도구라면 미드저니 (Midjourney)는 예술적이고 감각적인 비주얼 필요 시,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작업을 할 때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달리 (DALL-E) vs 미드저니 (Midjourney)는 둘 다 모두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하는 AI 서비스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이 둘의 작동 방식과 결과물, 사용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달리 AI는 웹 기반으로 쉽게 접근이 가능하지만 미드저니는 디스코드라는 명령어 기반으로 사용해야 해요. 달리 (DALL-E) vs 미드저니 (Midjourney) AI 공통점 및 차이점 달리 (DALL-E) 이미지 생성 AI의 주요 특징 달리는 오픈AI에서 개발한 텍스트 기반의 이미지 생성 AI입니다. 즉 텍스트로 프롬프트란에 입력하면 원하는 이미지를 그려주는 방식이죠. 달리는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 또는 API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API란 쉽게 말해서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 받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연결해 주는 통로라는 뜻인데요.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서비스의 내부 구조를 알 필요 없이 API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요청하고 결과를 받아 사용하는 것입니다. 달리의 API를 사용하면 오픈AI에서 제공하는 달리 등의 웹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지 않고도 개인 또는 기업의 프로그램이나 앱에서 테스트를 입력하면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만들 수 있다는 거예요. 달리는 기업이나 개인이 비즈니스할 때 사용 활용도가 높은 이미지 생성 AI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달리의 이미...

네임서버(DNS)란? - 온라인 서비스 운영 시 알아야 할 지식

이미지
네임서버(DNS)는 인터넷에서 웹사이트 주소인 도메인을 우리가 이해하기 쉬운 문자에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인 IP라는 주소로 바꿔주는 기능을 합니다. 네임서버는 영어로 Domain Name System으로 약자가 DNS인데요. 예를 들어 google.com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을 의미하죠. 네임서버(DNS)는 어떤 일을 할 때 필요한가? 웹사이트 등의 서비스를 운영할 경우 예를 들어 블로그, 쇼핑몰, 인터넷 잡지 및 신문 등 온라인 상에서 서비스되는 사이트가 사용자 컴퓨터에서 쉽게 보여지도록 연결합니다. 네임서버(DNS)란? - 온라인 서비스 운영 시 알아야 할 지식 즉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접속할 때 DNS를 설정하게 되면 덕분에 알아서 연결이 되는 것이죠. 또한 이메일을 보낼 때도 상대방 이메일 주소에 맞는 서버를 찾아야 하는데 이 때 DNS가 해당 서버를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 밖에도 스마트폰 내 앱이나 게임 앱도 서버에 연결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 또한 DNS가 그 서버의 위치를 찾아줘서 연결되어 해당 서비스를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것이죠. 네임서버(DNS)가 없다면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IP 주소와 같은 복잡한 숫자로 구성된 것을 직접 입력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www.youtube.com 대신에 142.250.206.**이런 식으로 숫자 주소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죠. 그래서 컴퓨터 언어가 아닌 사람들의 언어로 바꿔서 도메인을 만들어서 인식하도록 한 것이죠. DNS 동작 과정은 어떨까요?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에 구글닷컴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이 때 컴퓨터가 최근에 접속한 적이 ...

웹호스팅 vs 서버호스팅 차이점 비교

이미지
웹호스팅과 서버호스팅은 웹사이트나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해당 사이트나 서비스 내에 있는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자료를 서버라는 거대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임대하여 관리하는 방식을 말하는데요. 이 둘의 차이는 서버를 어떤 식으로 제공하고 관리 범위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웹호스팅 vs 서버호스팅 비교 요약 구분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서버 자원 공유 전용(독립 서버) 비용 저렴 상대적으로 고가 서버 관리 호스팅 업체가 관리 사용자가 직접 관리 또는 위탁 기술 필요성 낮음 높음 확장성 제한적 유연하고 자유로움 적합한 대상 개인, 소규모 웹사이트 대기업, 대용량 트래픽 사이트 웹호스팅 vs 서버호스팅 차이점 비교 웹호스팅 (Web Hosting) 웹호스팅은 하나의 서버라는 컴퓨터를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웹사이트 운영에 필요한 서버 내 공간, 웹페이지들을 연결하고 사용자와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 서버 관리 등을 서비스 제공업체가 모두 관리합니다. 웹호스팅의 특징 서버 관리, 보안, 유지보수를 호스팅 업체 내 담당자가 직접하게 됩니다. 이 말은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사용자가 서버 컴퓨터를 운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웹호스팅은 서버호스팅에 비해 저렴한 편입니다. 서버 컴퓨터...

2025 IT 트렌드 키워드: 양자컴퓨팅 발전으로 우리가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은?

이미지
2025년 올해 IT 트렌드 키워드는 인공지능(AI), 지속 가능성, 디지털 헬스, 양자 컴퓨팅, 모빌리티입니다. 이 중에서 양자 컴퓨팅은 초고난도 연산과 최적화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히 높은데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는데 그럼 일반 사용자가 이로 인해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양자 컴퓨팅이란? 양자 컴퓨팅은 기존 컴퓨터의 한계를 넘어서는 초고속 연산과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 처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기존 컴퓨터의 정보 단위는 비트인데요. 이 비트는 0 또는 1 중 하나의 값을 가집니다. 반면에 양자 컴퓨팅의 정보 단위인 큐비트는 0과 1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중첩 상태를 이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렇게 0과 1을 동시에 가지는 중첩 상태가 존재하고 두 개 이상의 큐비트가 서로 얽혀서 하나의 큐비트 상태 변화가 또 다른 큐비트에도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가지는데 이는 기존 컴퓨터보다 압도적으로 빠른 연산 속도와 암호 해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기술이예요. 2025 IT 트렌드 키워드: 양자컴퓨팅 양자 컴퓨팅 발전으로 우리가 혜택을 볼 수 있는 것 일반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제품보다는 간접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양자 컴퓨팅 기술이 발전하게 되면 실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변화가 있습니다. 1) 초고속 데이터 처리 기반 서비스 향상 양자 컴퓨터의 빠른 연산 능력으로 검색 엔진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에서 양자 알고리즘을 통해 더 정교하고 개인 맞춤화된 콘텐츠 추천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들이 양자 컴퓨팅을 활용하...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유형별 운영 방식 차이는?

이미지
가상자산 거래소의 기본적인 기능은 암호화폐의 매매, 보관, 송금 등으로 유사합니다. 가상자산 거래소 유형은 크게 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로 구분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는 중앙 관리 기관이 거래소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반면에 탈중앙화 거래소는 중앙 운영자 없이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중앙화 거래소(Centralized Exchange, CEX) 운영 방식 중앙화 거래소는 중앙 관리 기관이 거래소를 운영 및 관리합니다. 즉 운영 주체인 특정 기업이나 단체가 직접 운영을 한다는 것이죠. 고객의 자산을 거래소가 보관하고 거래소가 거래 중개를 하며 매수자와 매도자 간을 직접 연결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유형별 운영 방식 차이 주요 장점 및 단점 중앙화 거래소는 높은 유동성과 빠른 거래 처리 속도를 강점으로 가지고 있어요. 또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고객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외에도 법정화폐인 현물, 선물, 마진 거래 등 다양한 거래를 지원하고 규제 준수와 보안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려고 하죠. 반면에 해킹과 보안 사고 위험이 있습니다. 내부 부정행위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자산이 거래소에 집중되다보니 거래소 파산 시 자산 손실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의 대표적인 곳은 Binance (바이낸스), Bithumb (빗썸), Coinbase (코인베이스), Kraken (크라켄), Upbit (업비트) 등이 있습니다.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 DEX) 운영 방식 탈중앙화 거래소는 스마트 계약 기반의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특정 운영 주체가 없습니다. 사용자 지갑에 직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