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유형별 운영 방식 차이는?

가상자산 거래소의 기본적인 기능은 암호화폐의 매매, 보관, 송금 등으로 유사합니다. 가상자산 거래소 유형은 크게 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로 구분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는 중앙 관리 기관이 거래소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반면에 탈중앙화 거래소는 중앙 운영자 없이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중앙화 거래소(Centralized Exchange, CEX) 운영 방식

중앙화 거래소는 중앙 관리 기관이 거래소를 운영 및 관리합니다. 즉 운영 주체인 특정 기업이나 단체가 직접 운영을 한다는 것이죠.

고객의 자산을 거래소가 보관하고 거래소가 거래 중개를 하며 매수자와 매도자 간을 직접 연결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유형별 운영 방식 차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유형별 운영 방식 차이


주요 장점 및 단점

중앙화 거래소는 높은 유동성과 빠른 거래 처리 속도를 강점으로 가지고 있어요. 또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고객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외에도 법정화폐인 현물, 선물, 마진 거래 등 다양한 거래를 지원하고 규제 준수와 보안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려고 하죠. 반면에 해킹과 보안 사고 위험이 있습니다. 내부 부정행위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자산이 거래소에 집중되다보니 거래소 파산 시 자산 손실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중앙화 거래소의 대표적인 곳은 Binance (바이낸스), Bithumb (빗썸), Coinbase (코인베이스), Kraken (크라켄), Upbit (업비트) 등이 있습니다.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 DEX) 운영 방식

탈중앙화 거래소는 스마트 계약 기반의 자동화된 시스템을 통해 특정 운영 주체가 없습니다. 사용자 지갑에 직접 자산을 보관하는 방식인데요.

사용자 간 개인 대 개인(p2p) 방식으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 실행이 됩니다.

주요 장점 및 단점

탈중앙화 거래소는 개인 자산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보장합니다. 또한 익명성 및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는데 있어요. 중앙 서버가 없기 때문에 해킹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에 거래 속도가 느리고 유동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거래소는 글로벌 전체 암호화폐 거래량의 약 10% 미만을 차지하기 때문이죠.

탈중앙화 거래소 방식은 사용이 비교적 복잡하고 고객 지원이 부족하여 디지털 시스템 지식이 부족할 경우 이러한 거래소를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가상자산 거래소의 운영 방식은 거래소의 유형인 중앙화 및 탈중앙화로 크게 구분됩니다. 이외에도 거래 방식인 현물, 파생상품 등에 따라 나눠질 수 있고, 보안 체계, 규제 준수 수준, 수익 모델 등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거래 목적, 보안 요구사항, 거래 편의성 등을 고려해 적합한 거래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로서는 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 2가지로 보시면 되고 중앙화 거래소의 거래량이 약 90% 이상되고 탈중앙화 거래소의 거래량이 10% 미만을 차지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댓글

추천 글

유튜브 쇼츠 vs 틱톡 vs 릴스 3가지 숏폼 비교

동영상 AI 소라(Sora)란? 사용법 - 챗GPT 유료 이용자에게 무료 크레딧 지급

갤럭시링 vs 갤럭시워치 어떤 스마트 기기를 선택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