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포스팅 포맷별 특징과 장단점 – 가장 인기 포스팅 포맷은?
인스타그램은 2024부터 2025년에 걸쳐 이미지 기반 플랫폼에서 비디오 우선 플랫폼(video-first)으로 전환을 거의 완성했습니다다. 이 과정에서 포스팅 형식 간의 중요도와 역할이 크게 바뀌었으며, 지금은 각 포맷이 서로 다른 알고리즘 목적을 수행한다. 따라서 형식의 선택은 단순한 취향 문제가 아니라 노출 경로(Discovery), 참여(Engagement), 전환(Conversion) 전략의 일부로 봐야 합니다. 인스타그램 포스팅 포맷별 특징 1. Reels - 플랫폼이 가장 우선시하는 노출 포맷 Reels는 현재 인스타그램 내에서 가장 높은 노출 우선순위를 가진 형식이죠. 메타는 탐색 탭, 홈 피드 추천, 릴스 탭 등 여러 진입 경로를 Reels 중심으로 재편했고, 이는 플랫폼의 성장을 숏폼 비디오에서 찾겠다는 정책적 선택에 가깝습니다. 특징 세로형 숏폼 비디오, 최대 노출 포맷 비팔로워에게 가장 많이 도달함: 신규 팔로워 유입의 핵심 도구 사운드, 자막, 전환 효과 등 고속 소비에 최적화된 UX 적용 장점 알고리즘 추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가장 효율적으로 Reach를 확대할 수 있는 유일한 포맷 단점 콘텐츠 제작 난도가 가장 높음(기획, 촬영, 편집) 사용자의 스킵 행동이 빠르고 잔인한 편 - 첫 3초 경쟁이 심함 2. 캐러셀 - 저장·체류시간 기반의 깊은 소비 포맷 캐러셀 (Carousel)은 인스타그램 내에서 가장 높은 저장(Save), 체류 시간을 만드는 포맷입니다. 이는 알고리즘이 이 계정은 가치 있는 정보를 생산한다고 판단하는 핵심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단기 도달은 릴스보다 낮아도 장기적 계정 성장에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캐러셀 형태는 깊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