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DNS)란? - 온라인 서비스 운영 시 알아야 할 지식
네임서버(DNS)는 인터넷에서 웹사이트 주소인 도메인을 우리가 이해하기 쉬운 문자에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인 IP라는 주소로 바꿔주는 기능을 합니다.
네임서버는 영어로 Domain Name System으로 약자가 DNS인데요. 예를 들어 google.com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을 의미하죠.
네임서버(DNS)는 어떤 일을 할 때 필요한가?
웹사이트 등의 서비스를 운영할 경우 예를 들어 블로그, 쇼핑몰, 인터넷 잡지 및 신문 등 온라인 상에서 서비스되는 사이트가 사용자 컴퓨터에서 쉽게 보여지도록 연결합니다.
네임서버(DNS)란? - 온라인 서비스 운영 시 알아야 할 지식 |
즉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접속할 때 DNS를 설정하게 되면 덕분에 알아서 연결이 되는 것이죠. 또한 이메일을 보낼 때도 상대방 이메일 주소에 맞는 서버를 찾아야 하는데 이 때 DNS가 해당 서버를 찾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 밖에도 스마트폰 내 앱이나 게임 앱도 서버에 연결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 또한 DNS가 그 서버의 위치를 찾아줘서 연결되어 해당 서비스를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것이죠.
네임서버(DNS)가 없다면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IP 주소와 같은 복잡한 숫자로 구성된 것을 직접 입력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www.youtube.com 대신에 142.250.206.**이런 식으로 숫자 주소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죠.
그래서 컴퓨터 언어가 아닌 사람들의 언어로 바꿔서 도메인을 만들어서 인식하도록 한 것이죠.
DNS 동작 과정은 어떨까요?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에 구글닷컴과 같은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이 때 컴퓨터가 최근에 접속한 적이 있는지 확인 과정을 거칩니다.
이 단계가 로컬 DNS 캐시 확인 과정이데요. 그런 다음 로컬에 정보가 없으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의 DNS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는 가비아, 호스팅케이알 등 다양한 회사들이 있죠. 이들은 루트 네임서버 즉 최상위 서버로 .com, .net 등 최상위 도메인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게 됩니다. .com, .co.kr, .net 등은 1차 도메인이라도 부르죠.
이렇게 1차 도메인의 관리를 담당하는 네임서버가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알려주게 됩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는 해당 IP 주소로 연결되어 원하는 해당 도메인으로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죠.
DNS의 특징 및 역할
사용자가 google.com 등의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IP 주소르 찾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DNS 캐싱을 통해 반복 요청 시 빠르게 응답하여 속도 향상을 내죠.
또한 전 세계 여러 서버에 분산되어 있어 효율적이고 빠른 응답이 가능합니다. DNS 보안 확장 등을 통해 데이터 위조를 방지하는 보안 기능도 하죠.
만약 DNS 서버가 다운되면 해당 도메인 이름을 해석할 수 없어서 원하는 웹사이트에 접속이 불가능한 것이죠. 이런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개인이나 기업은 신뢰할 수 있는 DNS 제공 업체를 선정해야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